1. 애덤 스미스는 정부가 규제를 통해서 독과점하는 것을 반대했다. (10점)
①O
②X
해설 애덤 스미스는 독과점하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자유로운 시장경제를 옹호했다.
2. 비옥한 토지를 가진 프랑스는 중농주의가 발달하고, 스페인, 포르투갈은 중상주의가 발달한다. (10점)
①X ②O
해설 비옥한 토지를 가진 프랑스는 중농주의가 발달하고, 스페인, 포르투갈은 중상주의가 발달한다. 우리나라도 18세기에 실학의 등장으로 중농주의학파와 중상주의학파가 나오게 된다.
3. 다음 케인즈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0점)
①‘작은 정부, 큰 시장’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②케인스는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안을 선호했다.
③케인스는 과잉생산 상태에서 저축이 늘어나고 소비가 현저하게 줄어들 경우, 갑작스러운 경기침체와 공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④케인즈는 유효수요의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선순환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설 '작은 정부, 큰 시장’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설명이다.
4. 기회비용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10점)
①재화가 두 개일 때 어떤 재화를 선택함으로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②너무나 많아서 기회비용인 0인 재화를 불용재라고 한다.
③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만 적용하면 된다.
④만 원, 5천 원, 천 원이 있고 셋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을 때, 내가 만 원을 선택한다면 기회비용은 6천 원이 된다.
해설 재화가 두 개일 때 어떤 재화를 선택함으로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를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재화가 여러 개일 때는 어떤 하나의 재화를 선택함으로써 포기되는 재화의 가치 중 가장 큰 재화의 가치를 말한다.
5. 다음 생산 활동의 주체로 맞는 것은? (10점)
①정부 ②기업 ③산업 ④가계
해설 가계는 소비 활동의 주체이며 기업은 생산 활동과 고용의 주체이다.
6. 다음 공급과 수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0점)
①수요법칙의 예외로 매석이 있다.
②수요는 경제주체가 재화를 구입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③공급법칙은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④강남 아파트, 화랑 등은 공급법칙의 예외에 속한다.
해설 매석은 값이 오를 것을 예측하고 팔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급법칙의 예외이다.
7. 가격이 하락하면 상품의 수요량이 늘어나고,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수요법칙’이라고 한다. (10점)
①O
②X
해설 한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가격이 하락한 재화뿐만 아니라 그 재화와 연관된 재화의 수요도 늘어난다. 가격이 하락하면 상품의 수요량이 늘어나고,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줄어드는 현상을 ‘수요법칙’이라고 한다.
8. 가수요는 구입할 의사와 구입할 능력이 있는 수요이다. (10점)
①X
②O
해설 구입할 의사와 구입할 능력이 있는 수요는 유효수요이다. 가수요는 지금 당장 필요가 없으면서도 일어나는 예상수요이다.
9. 다음 가격차별화 정책의 예로 틀린 것은? (10점)
①백화점의 거울
②영화관의 조조할인 ③심야 전기 요금 ④패밀리레스토랑의 런치 가격
해설 백화점의 거울은 구매를 위한 정책일 뿐, 가격차별화 정책은 아니다. 가격차별화 정책은 가격에 둔감한 소비자에게는 비싼 가격으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정책이다.
10. 외환시장은 완전경쟁시장과는 거리가 멀다. (10점)
①O ②X
해설 외환시장은 완전경쟁시장에 가깝다. 그 이유로 달러를 많이 구입한다고 해서 가격이 오르지 않으며, 헌 지폐나 새 지폐의 가치는 같고 모든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NCS, 직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진기 지금 당장 경제학_최종평가 (10) | 2021.02.05 |
---|---|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_9~16강 정리 (0) | 2021.02.05 |
최진기 지금 당장 경제학_5~7강 정리 (0) | 2021.02.03 |
최진기 지금 당장 경제학_4강 (0) | 2021.02.02 |
최진기 지금 당장 경제학_1~3강 정리 (0) | 2021.02.02 |